선택은 곧 당신의 인생이다
1. 당신은 당신이 한 선택의 총합이다
우리는 매일같이 선택을 한다. 사소한 아침 메뉴 결정부터, 인생을 좌우할 수 있는 진로, 결혼, 직장, 투자 결정까지. 이진우의 강연 "나의 두 번째 교과서 - 경제 8강"은 이런 선택의 중요성과 그 본질에 대해 명쾌하게 설명한다.
"지금 우리가 사는 우리의 모습은 지난 시간 동안 우리가 어떤 선택을 해 왔느냐에 따라서 만들어진 결과물일 겁니다."
선택이 곧 경제의 본질이고, 경제학을 배우는 이유는 더 나은 선택을 하기 위해서라는 것. 이는 곧 우리가 배우는 지식의 궁극적인 목적이기도 하다.
2. 잘못된 선택의 사례들: 왜 우리는 비합리적으로 행동하는가?
호텔 맥주 vs 노점상 맥주
동일한 맥주라도 '어디서 파느냐'에 따라 사람들은 다른 값을 지불하려 한다. 이는 소비자가 장소에 따라 가치를 다르게 판단하는 '고정관념' 때문이다. 하지만 진짜 합리적인 소비란 장소가 아닌 "나의 갈증 해소"라는 본질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이건 내가 얼마나 목이 마른지 또는 내가 주머니에 돈이 얼마나 많은지 딱 두 가지만 생각해서 결정하면 되는 거예요."
뷔페에서 김밥만 먹는 아이들
입장료는 이미 지불한 '매몰비용'. 그러나 우리는 이를 되찾기 위해 억지로 값비싼 메뉴를 먹으며 만족감을 느끼려 한다. 아이들은 단순하게 '지금 내가 먹고 싶은 것'을 선택하고, 이는 오히려 합리적이다. 하지만 강연자는 본질을 잊지 말라고 강조한다:
"내가 이 식당에 모하러 왔는지 그 본질을 잊어버리고 다른 게임을 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3. 게임의 본질을 파악하라: 선택의 방향은 여기서 결정된다
주식 투자 = 기다림의 게임
주식은 예측의 게임이 아니라 '버티기'의 게임이다. 자산은 장기적으로 우상향하기 때문에 본업에 충실하며 시간을 견디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전략이다.
"투자의 본질은 버티는 게임이고 기다리는 게임이에요."
회사 생활 = 구조 이해의 게임
사장이 돈을 벌고 직원은 그보다 적은 월급을 받는 건 당연한 구조. 그 구조를 모르고 불만만 쌓는다면 좋은 선택은 할 수 없다. 게임의 룰을 이해하고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내가 이 회사를 다니기로 한 선택이 어떤 게임이었는지 이해해야 좋은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인간관계와 소비 = 감정의 본질 파악 게임
배우자에게 사랑을 묻는 질문, 사장의 조직문화 토론 제안 등은 모두 이면에 감춰진 '의도'가 있다. 소비에서도 단순히 할인된 가격보다, '싸게 잘 샀다는 감정'이 중요하다. 백화점도 이를 늦게 깨달았고, 쿠폰 정책을 실패한 이유다.
4. '좋아하는 일'과 인생의 본질
좋아하는 일을 해야 한다는 통념은 때로 우리를 불행하게 만든다. 좋아하는 일을 찾지 못한 상태를 불행으로 여기지만, 오히려 그것이 인생의 황금기일 수 있다.
"좋아하는 일이 없는 지금을 그렇게 불행하게 생각하지 않아도 된다."
우리가 진짜 집중해야 할 것은, 좋아하는 일을 찾는 것이 아니라 '지금 이 순간을 행복하게 즐기는 법'이다. 인생의 본질은 '잘 살다 가는 것'이지, '무엇이 되었는가'가 아니다.
5. 선택의 딜레마: 51대 49의 결정 앞에서
딸의 자취방 사례
딸이 고르고 있는 자취방. 51대 49의 선택 앞에서 쉽게 결정을 내리지 못한다면?
"뭘 선택해도 후회가 남을 것 같지만, 뒤집어 생각하면 뭘 선택해도 괜찮다는 뜻이다."
결정 후 그 선택을 잘 만들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완벽한 선택은 없다.
결혼, 집 구매, 금리 선택
이런 큰 결정들도 사실은 전문가조차 알 수 없는 50:50의 확률 게임일 수 있다. 그렇다면 이 선택의 본질은 '중요해 보이지만 사실은 사소할 수 있는 일들'이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게 진짜 중요한 결정이라면 신께서 나한테 결정하라고 했을 리가 없다."
6. 손실 회피와 같은 심리 편향에서 벗어나라
우리 마음속의 고장 난 핸들, 즉 '손실 회피 성향'은 변화를 두려워하게 만든다.
"우리는 이익보다 손실에 훨씬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럴 때는 '내가 꺼리는 선택'을 오히려 한 번 더 진지하게 고려해보는 것이 현명할 수 있다. 변화는 실제로 우리가 두려워하는 것보다 더 나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선택의 순간에 필요한 3가지 질문
- 지금 내가 하려는 선택은 어떤 게임의 일부인가?
- 이 선택에서 진짜 중요한 본질은 무엇인가?
- 나의 감정은 어떤 편향에 지배되고 있지 않은가?
이 세 가지 질문은 우리가 더 현명하고, 더 인간적인 선택을 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이다.